분류 전체보기 1229

'대한문(大漢門)'의 내력

‘대한문(大漢門’의 내력최훈영 임금을 가르치는 스승 벼슬이 경연관입니다.임금이 왕권을 잃고 허수아비가 되었습니다.왜의 이등박문이 와서 조선을 다스리게 되었습니다. 송병선이 임금을 잘 가르치지 못했다고 했습니다.송병선은 죽어 마땅하다고 결심하고 독약을 마시고 죽었던 것입니다. 비애왕(=고종)이 詔를 내리기를“내가 죽어야 하는데 나의 스승 연제 선생이 돌아가셨구나!” 하는 마음으로 말한 것입니다. 일본통감 이등박문이 1906년 3월 2일에 서울에 와서 남산에 있는 통감부에 통감으로 착임했습니다. 이등박문이 다스리는 통감시대가 열린 것입니다.이등박문이 초대 통감이 되어서 했던 첫째 사업이 경운궁(慶運宮) 대문이름을 바꾸는 일이었습니다. 대문이름 大安門> 현판을 내리고, 그 자리에 大漢門>이라는 현판을 거..

남자 절하기

[예절생활] ●남자 절하기-생자에게-최훈영- 왕은 나라 안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다. 그래서 지존(至尊)이라고 했다. 왕이 행하는 모습이 백성과 달라야 한다. 백성이 왕의 지존을 취하면, 역적이 된다. 왕이 지존으로 되기 위해 왕실법도가 나오게 된 것이다. 왕실 법도를 지켜주기 위하여 백성 법도가 따로 있어야 되는 것이었다. 왕실 말(王室言語)이 있고, 백성 말(百姓言語)이 따로 있게 되었다. 왕실혼례가 있고, 백성혼례가 따로 있게 되었다. 왕실절하기>가 있고, 백성절하기>가 따로 있게 된 것이다. 왕이 정남(正南)으로 앉게 된다. 그리하여 궁궐이 정남을 보도록 짓는다. 남쪽을 바르게 보도록 앉으면 그 자리가 정남이다. 정남이 좌침(座針)으로는 자좌(子座=정남향)이다. 백성 집은 정남을 피해서 지어야 한다..

나이와 항렬

㈜ 아래 글은 경주최씨 최훈영 선생의 언어예절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예절생활] ●나이와 항렬 말하는 두 사람 사이에 있어서 어느 한쪽이 나이도 많고 항렬도 위가 되면 말하기에 어려움은 없게 됩니다.그러나 한쪽이 항렬은 위가 되나 나이는 저쪽보다 아래가 될 경우 두 사람 사이에 말하기가 어떻게 되어야 마땅한가에 대한 것을 밝히고자 합니다. 8촌 안에 든 유복친당에서는 항렬이 무겁게 되고, 9촌 이상이 되는 면복친당에서는 나이가 무겁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무겁게 된다’라는 말은 윗자리에 오른다는 뜻이 됩니다. 항렬이 무겁게 되는 8촌 안의 경우에 있어서도 촌수가 8에 가까워질수록 그 항렬의 힘이 약하게 되는 것입니다. 김상권(60세-질항): 끝아버지, 절합니다.김오연(50세-숙항): 오냐, 너는 언..

김녕김씨 영사공파 대죽문중 세거비

世居碑(세거비) 世居碑(세거비)金寧金氏 領事公派 大竹門中(김녕김씨 영사공파 대죽문중)     小白山(소백산)의 한 地脈(지맥)이 靈氣(영기)를 몰고 1逶迤(위이)起伏2(기복)하여 鶴駕(학가)를 左(좌)로 西南(서남)으로 뻗어 鳳逗嶺(봉두령=봉우제)에 맺혔다. 3其下(기하)에 4明村(명촌)이 生(생)겼으니 이름하여 한대(大竹=대죽)이다. 이곳은 倫理道德(윤리도덕)과 禮義廉恥(예의염치)를 世業(세업)으로 삼고 5孝悌忠信(효제충신)을 崇上(=崇尙숭상)하며 살아온 6嶠南(교남) 7華門(화문)인 金寧金氏(김녕김씨) 半千年(반천년)의 8世居地(세거지)이다.     우리 金寧金氏(김녕김씨)는 新羅(신라) 敬順王(경순왕)의 八世孫(8세손) 9諡(시) 文烈公(문열공) 10諱(휘) 時興(시흥)을 11貫祖(관조)로 모시고 ..

아기 어르는 소리(세상달강)

●아기 어르는 소리○시상달강[세상달강]-경상도 북부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리- 할머니, 할아버지가 손자 손녀를 데리고 어르면서 하는 소리다.이 소리를 하다가 보면 아기가 스르르 잠이 든다.일종의 자장가라고 할 수 있다. 시상달강 시상달강밤 한 바리 실어다가살강 밑에 묻었더니생쥐란 놈 다 파먹고다문 한 개 남았는 걸동솥에다 삶아서껍데기는 애비 주고보늴랑은 애미 주고알코뱅이는 낭가서리니캉 내캉 둘이 먹자시상달강 시상달강

士, 師, 使, 事

士, 師, 使, 事 차이? 이 ‘사’자 네 글자는 어디에 붙여 쓰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가 있다.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가 있고, 대형 사건의 경우에는 법정 서기로 속기사가 있다.이들의 한자 표기는 각각 判事, 檢事, 辯護士, 速記士이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끝에 쓰이는 ‘사’자의 한자가 서로 다른 ‘事’와 ‘士’다.왜 이렇게 다르게 쓰는 걸까?다 같이 법을 다루거나, 법정에서 일하는데. 또 흔히 ‘사’자 붙은 사람들이라 하여 권력이 있거나 돈벌이가 잘되는 사람들을 얘기할 때 열거하는 직업들이 있다.위에서 언급된 판검사와 변호사 외에도 이를테면 의사, 약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회계사 등이 그런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이들 직업의 한자 표기는 각각 醫師/藥師/辨理..

윤석열 관저 앞 체포영장 집행 반대 참석 국힘 의원 명단

2025년 1월 6일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마지막 날, 이른 아침부터 국민의힘 국회의원들 반대집회가 있는 대통령실 관저 앞에 집결한 45명 강대식(대구동구군위근을)강명구(경북구미을)강민국(경남진주을)강선영(비례)강승규(충남홍성에산)구자근(경북구미갑)권영진(대구달서병)김기현(울산남구을)김민전(비례)김석기(경북경주)김선교(경기여주양평)김승수(대구북구을)김위상(비례)김은혜(경기성남분당구을)김장겸(비례)김정재(경북포항북구)김종양(경남창원의창)나경원(서울동작을)박대출(경남진주갑)박성민(울산중구)박성훈(부산북구을)박준태(비례)박충권(비례)서일준(경남거제)서천호(경남사천남해하동)송언석(경북김천) 엄태영(충북제천단양)유상범(강원홍천횡성영월평창)윤상현(인천동구미추홀을)이달희(비례)이만희(경북영천청도)이상휘(경북포함..

상설특검법 국힘 찬성,기권자 22명

내란상설특검법국힘의원  찬성자조경태· 김태호· 김도읍· 안철수· 김예지· 김형동(예천안동)· 박정하· 배준영· 배현진· 서범수· 김건· 김상욱· 김소희· 김용태· 김위상· 김재섭· 곽규택· 박수민· 안상훈· 우재준· 진종오· 한지아(대부분친한계 또는 중립 성향 기권자신성범· 김미애· 권영진(대구달서병)· 박형수· 서일준· 이성권· 엄태영· 김기웅(대구중남구)· 김종양· 고동진· 박성훈· 박정훈· 이달희· 정성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