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의 역사
예천군(단술醴샘泉郡) 역사와 연혁
선사시대 |
-110여 기의 고인돌과 60여기의 선돌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 특히 용문면 상금곡리에 북방식 고인돌 1기가 있다. |
|
삼국시대 |
신라의 최북단에 위치한 우리 고장은
-신라 제19대 눌지왕(417~458) 때 ‘수주촌’이라는 이름이 [삼국사기]에 있다.
-신라 제22대 지증왕 6년(505)에 ‘수주현’으로 되었다.
-통일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757)에 영안(풍산), 안인(동로,산북 일부), 가유(산양), 은정(상리,하리)의 4현을 영속시켜 예천군이 되었다. |
|
고려시대 |
-태조 18년(936)에 보주로 개칭되고,
-성종 2년(983)부터 양양이라는 별호가 생겼으며, -성종 14년(995)에는 청하라는 별호도 생겼다.
-현종 9년(1018)에 전국을 1경 5도 양계로 할 때 보주는 안동영지사부에 소속되었고, 이때 용주군은 용궁군으로 고쳐 상주목에 속하게 되었고, 감천현은 안동영지사부에 이속되었다.
-명종 2년(1172)에 왕이 태자(후에 22대 강종)의 태실을 용문사 부근에 마련하고 보주를 기양이라고 고쳐 현령을 두었고 용궁군에는 감무를 두었다.
-신종 7년(1204)에 기양현을 다시 보주로 고쳐 관원의 품계를 격상시켰다.
-원종 15년(1274)에 임지한 장군이 반적 최사의 무리를 토평한 전공으로 상주목 관할의 다인현을 예천군의 속현으로 삼아 광무 10년(1906)까지 영속하였다. |
|
조선시대 |
-태종 13년(1413)에 보천군으로,
-태종 16년(1416)에 또 예천군이라고 하여 옛이름을 되살렸다.
-고종 31년(1894) 8도제 시행 당시 경상도 예천군이 되고
-고종 33년(1896) 13도제 실시 때 경상북도 예천군이 되었다.
-광무10년(1906)에 화장과 동로소를 문경군으로, 현내면, 현동면, 현서면, 현남면(이상 옛 다인현)은 비안군으로 이속되었고, 안동부 관내의 감천면을 예천군으로 편입하였다 |
|
근현시대 |
-1914년 부 · 군 · 현 폐합에 따라 용궁군을 병합하면서 10면이 되었다. 단, 비안군 현서면은 예천군 풍양면 일부로 편입되었다.
-1923년 영주군에서 상리면, 하리면을 편입시켜 12면이 되었다.
-1937년 7월 1일 예천면이 예천읍으로 승격되어 1읍 11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 개포면 상동이 예천읍으로 편입되었다. (대통령령 제6542호)
-1983년 2월 15일 보문면의 마촌동이 감천면으로, 보문면의 고평동이 예천읍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대통령령 제11027호)
-1987년 1월 1일 용문면의 두인동이 두천동으로 개칭되었다.
-1988년 5월 24일 행정구역 명칭 동(洞)이 리(里)로 개칭되었다.
-1989년 1월 1일 감천면의 미석3리 일부(13가구 36명)가 영풍군 장수면 소룡리로 이속되었다. (대통령령 제12557호)
-1990년 1월 1일 예천읍의 대심1리가 대심1리와 대심3리로 분리되어, 본군은 1읍 11면 173법정리 264행정리로 되었다. (군조례 제1251호)
-1999년 4월 10일 유천면의 연천리가 연천1리와 연천2리로 분리되어, 본군은 1읍 11면 173법정리 265행정리로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군조례 제1563호)
-2000년 10월 1일 호명면 월포리 일부가 예천읍 청복리로 편입되었다. (군조례 제1629호)
-2007년 3월 2일 예천읍 상리(上里)가 상동리(上洞里)로 개칭되었다. (군조례 제1844호)
-2016년 2월 1일 상리면이 효자면으로, 하리면이 은풍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군조례 제2157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