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요 |
|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사업의 도로명판 영문 표기방법에 대하여 일반적인 원칙과 그간 행정자치부에서 개선된 표기내용 등을 실무에 활용도가 높은 유형별로 요약·정리하여 편집. |
 |
Ⅰ. 도로명판의 영문표기 원칙 |
|
|
1. 도로명및건물번호부여원칙(2000.10.20 최종개정) |
|
|
|
가.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도로명판에는 원칙적으로 한글과 영문을 병기한다. |
|
|
|
나. 소로이하의 도로명판은 한글만으로 표시한다. 단,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외국어를 도로명
판에 병기 할 수 있다. |
|
|
2. 도로명및건물번호부여사업실무편람(2000.10) |
|
|
|
가. 영문표기는 영문표기법과 국제적 표준표기 관례 및 국제 통용약어에 따라 표기해 야 한다. |
|
|
|
나. 도로명은 영어를 번역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필요시에는 괄호( )속에 약자 로 표기할 수 있다. |
|
|
|
다. 고유명사와 보통명사가 복합되어 고유명사화 된 경우 한글 발음대로 영어로 표기한다. |
|
|
|
라.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표기해야 한다. |
|
|
|
마. 영어의 관사는 생략한다. |
|
|
|
바. 영문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
|
|
|
사. 한글과 조화될 수 있도록 표기한다. |
|
|
|
아. 영문 첫 대문자의 세로 높이가 한글 세로 크기의 60%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지방자치단체
장이 따로 정할 수 있다. |
|
|
|
자. 행간 간격은 단어 간격보다 넓게 하고 다만, 한글과 영문을 병행하여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단어 간격을
고려 하여 한글의 행간 간격 표기법에 따라서 표기한다. |
|
|
|
차. 기타 사항은 건설교통부가 제정한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한 사항을 준수한다. |
 |
Ⅱ.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
|
1. 개정사유 |
|
|
|
가. 반달표(˘)와 어깻점(´)이라는 특수부호의 의미를 쉽게 이해 할 수 없고 반달표는 컴퓨터 자판에도 없어 정보
화에 불편초래 |
|
|
|
나. 종전의 표기법은 자음의 유·무성 구별로 우리의 음가(音價)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음
(동대구⇒Tongdaegu) |
|
|
2. 개정내용 |
|
|
|
가.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
|
|
|
 |
[특수부호인 반달표와 어깻점을 없앰] |
|
|
|
|
예) |
성주 S ngju ⇒ Seongju |
태백 T'aebaek ⇒ Taebaek | |
|
|
|
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
|
|
[국어의 표준 발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방식 유지] |
|
|
|
|
예) |
백마(뱅마) Baengma |
신라(실라) Silla | |
|
|
3. 개정요지 |
|
|
|
가. 어( ), 으(ó)를 ⇒ 어(eo), 으(eu)로 함. |
|
|
|
|
예) |
정주 Ch ngju ⇒ Jeongju |
장흥 Changh'ung ⇒ Jangheung | |
|
|
|
나.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
|
|
|
|
예) |
구미 Gumi |
영동 Yeongdong |
백암 Baegam |
옥천 Okcheon |
한밭[한받] hanbat |
호법 Hobeop | |
|
|
|
다. 'ㅅ'을 '이' 앞에서 sh, 나머지는 s하던 것을 s로 통일함 |
|
|
|
|
|
|
|
|
라.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붙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
|
|
|
|
예) |
민용하 Min Yongha(Min Yong-ha) |
송나리 Song Nari(Song Na-ri) | |
|
|
|
마.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
|
|
|
|
|
|
4. 국어의 로마자 표기시 유의사항 |
|
|
|
가.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
|
|
|
|
(1) 자음 사이에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
|
|
|
|
예) |
백마[뱅마] Baengma |
신문로[신문노] Sinmunno |
종로[종노] Jongno |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 |
|
|
|
|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
|
|
|
|
예) |
학여울[항녀울] Hangnyeoul |
알약[알략] allyak | |
|
|
|
|
(3) 구개음화 되는 경우 |
|
|
|
|
예) |
해돋이[해도지] hedoji |
같이[가치] gachi | |
|
|
|
|
(4)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소리나는 경우 |
|
|
|
|
예) |
좋고[조코] joko |
놓다[노타] nota |
잡혀[자펴] japyeo |
낳지[나치] nachi | |
|
|
|
나. 발음상 혼돈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
|
|
|
|
예) |
중앙 Jung -ang |
반구대 Ban-gudae |
세운 Se-un |
해운대 Hae-undae | |
|
|
|
다. 이름에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
|
|
|
예) |
한복남 Han Boknam(Han Bok-nam) |
홍빛나 Hong Bitna(Hong Bit-na) | |
|
|
|
라.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
로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화는 반영하지 않는다. |
|
|
|
|
예) |
충청북도 Chungcheongbuk-do |
제주도 Jeju-do |
의정부시 Uijeongbu-si |
양주군 Yangju-gun |
도봉구 Dobong-gu |
신창읍 Sinchang-eup |
삼죽면 Samjuk-myeon |
인왕리 Inwang-ri |
당산동 Dangsan-dong |
|
봉천1동 Bongcheon 1(il)-dong |
|
종로 2가 Jongno 2(i)-ga |
|
퇴계로 3가 Toegyero 3(sam)-ga |
| |
|
|
|
마. 인명, 회사명, 단체명 등은 그 동안 써온 표기를 쓸 수 있다. |
|
|
|
바.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없이 붙여쓴다. |
|
|
|
|
예) |
남산 Namsan |
속리산 Songnisan |
금강 Geumgang |
독도 Dokdo |
경복궁 Gyeongbokgung |
무량수전 Muryangsujeon |
연화교 Yeonhwagyo |
극락전 Geungnakjeon |
오죽헌 Ojukheon |
촉석루 Chokseongnu |
종묘 Jongmyo |
다보탑 Dabotap | |
|
|
5. 로마자 표기 일람 |
|
|
|
가. 모음 |
|
|
|
|
(1) 단모음 |
|
|
|
|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
a |
eo |
o |
u |
eu |
i |
ae |
e |
oe |
wi | |
|
|
|
|
(2) 이중모음 |
|
|
|
|
ㅑ |
ㅕ |
ㅛ |
ㅠ |
ㅒ |
ㅖ |
ㅘ |
ㅙ |
ㅝ |
ㅞ |
ㅢ |
ya |
yeo |
yo |
yu |
yae |
ye |
wa |
wae |
wo |
we |
ui | |
|
|
|
|
[붙임]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예) 광희문 Gwanghuimun |
|
|
|
나. 자음 |
|
|
|
|
(1) 파열음 |
|
|
|
|
ㄱ |
ㄲ |
ㅋ |
ㄷ |
ㄸ |
ㅌ |
ㅂ |
ㅃ |
ㅍ |
g, k |
kk |
k |
d, t |
tt |
t |
b, p |
pp |
p | |
|
|
|
|
(2) 파찰음 |
|
|
|
|
|
|
|
|
|
(3) 마찰음 |
|
|
|
|
|
|
|
|
|
(4) 비 음 |
|
|
|
|
|
|
|
|
|
(5) 유 음 |
|
|
|
|
|
|
|
|
|
[붙임]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ㅣ'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
|
(보기) |
구리 Guri |
설악 Seorak |
칠곡 Chilgok |
임실 Imsil |
울릉 Ulleung |
대관령[대괄령] Daegwallyeong | | |
|
|
6. 경과규정 |
|
|
|
가. 로마자표기법은 관보 고시일(2000.7.7)부터 시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 2000.7.7)] |
|
|
|
나. 종전의 표기법에 의해 설치된 표지판(도로, 광고물, 문화재 등의 안내판)은 2005.12.31까지 교체토록 경과규
정을 두었음. |
|
|
|
다.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발간된 교과서 등 출판물은 2002.2.28까지 개정토록 경과 규정을 두었음. |
 |
Ⅲ. 유형별 도로명의 표기 방법 |
|
|
1. 행정관청(서)등의 표기시 |
|
|
|
○ 행정관청(서)의 도로명 표기시 번역어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말의 소리대로 붙여서 사용함. |
|
|
|
가. 행정관청 등의 경우 |
|
|
|
예) |
도청길 Docheong-gil |
시청길 Sicheong-gil |
군청길 Guncheong-gil |
구청길 Gucheong-gil |
양평읍길 Yangpyeongeup-gil |
|
거제면길 Geojemyeong-gil |
교동길 Gyodong-gil | |
|
|
|
나. 기타 행정관서 등 |
|
|
|
예) |
경찰서길 Gyeongchalseo-gil |
우체국길 Ucheguk-gil |
소방서길 Sobangseo-gil |
| |
|
|
2. 자연지물명, 문화재명, 인공축조물의 표기시 |
|
|
|
○ 자연지물명, 문화재명, 인공축조물 등에 대한 길이름의 표기시 번역 없이 우리말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
|
|
|
가. 산의 경우 |
|
|
|
|
예) |
관악산길 Gwanaksan-gil |
설악산길 Seoraksan-gil | |
|
|
|
나. 강의 경우 |
|
|
|
|
예) |
남한강길 Namhangang-gil |
동강길 Donggang-gil | |
|
|
|
다. 공원의 경우 |
|
|
|
|
예) |
남산공원길 Namsangongwon-gil |
공원길 Gongwon-gil | |
|
|
|
라. 문화재명 |
|
|
|
|
예) |
불국사길 Bulguksa-gil |
경복궁길 Gyeongbokgung-gil | |
|
|
|
마. 인공축조물 |
|
|
|
|
예) |
석빙고길 Seokbinggo-gil |
촉석루길 Chokseongnu-gil | |
|
|
|
바. 기타 명소 |
|
|
|
|
예) |
청학동길 Cheonghakdong-gil |
판문점길 Panmunjeom-gil |
정동진길 Jeongdongjin-gil |
| |
 |
Ⅳ. 붙임표(-) 및 lo, ro, no자 사용법 |
|
|
1. 도로명중 '로(路)'자로 끝나는 말은 붙임표(-)없이 소리 나는 대로 lo, ro, no 등으로 적는다. |
|
|
|
예) |
밤실로 Bamsillo |
우치로 Uchiro |
서암로 Seoamno | |
|
|
2. 도로명에 일련번호가 부여되고 뒤에 '길(gil), 로(ro)'가 붙는 경우 '로'는 붙여쓰고 '길'은 그 앞에 붙임표(-)를
넣는다. |
|
|
|
예) |
봉천 1로 Bongcheon 1(il)lo |
봉천 2로 Bongcheon 2(i)ro |
봉천 3로 Bongcheon 3(sam)no |
큰마루 1길 Keunnaru 1(il)-gil | |
|
|
3. 외래어가 국어와 함께 있을 경우 사이에 붙임표(-)를 넣는다. |
|
|
|
예) |
그린세계로 Green-segyero |
올림픽대로 Olympic-daero | |
|
|
4. 은혜길 등 '길'로 끝나는 가로명은 붙침표(-) 다음에 gil을 쓴다. |
|
|
|
|
|
|
5. '○○동길', '○○군길'처럼 행정구역 단위명에 '길'이 결합된 경우는 행정구역 단위명 붙임표(-)를 넣지 않는다. |
|
|
|
예) |
신사동길 Sinsadong-gil |
양주군길 Yangjugun-gil | |
 |
Ⅴ. 도로명의 로마자 표기 일반원칙 |
|
|
1. 어원이 분명한 외래어가 사용된 경우는 외래어의 원어 철자를 그대로 적는다. |
|
|
|
예) |
올림픽길 Olympic-gil |
터미널길 Terminal-gil |
프랑스대사관길 France-daesagwan-gil | |
|
|
2. 회사명, 단체명을 따서 길 이름을 지을 때, 그 단체에서 사용하는 특정 고유명사 로마자 표기가 있을 때에는 그
표기대로 적는다. |
|
|
|
예) |
연세대길 Yonseidae-gil |
삼성의료원길 Samsunguiryowon-gil | |
|
|
3. 길 이름에 대한 기관 명칭의 영어 번역어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말의 소리대로 로마자로 적는다. |
|
|
|
예) |
대원여고길 Daewonnyego-gil |
풍납복지관길 Pungnapbokjigwan-gil |
파리공원길 Paris-gongwong-gil |
신라 Silla | |
|
|
4. 길 이름은 전체를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
|
예) |
산대놀이길 Sandaenori-gil |
백제고분로 Baekjegobunno | |
 |
Ⅵ. 사이시옷에 대한 표기 - 도로명 '○○길'의 표기 원칙 |
|
|
1. 원칙 |
|
|
|
'새주소 부여사업'의 하나로 새로 명명하고 있는 도로명 고유명사 '○○길'에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
|
|
|
|
기존의 표기 |
결정사항에 따른 표기 |
개나리길 / 개나릿길 |
개나리길 |
경찰서길 / 경찰섯길 |
경찰서길 |
○○여고길 / ○○여곳길 |
○○여고길 | |
|
|
2. 해설 |
|
|
|
'○○길'의 발음을 [○○낄]로 표준화하고, 복합어로 처리하여 사이시옷을 받쳐 적자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첫째, 새로 이름 붙이는 도로명이기 때문에 현실 발음이 된소리라고 할 기존의 명확한 증거를 찾기 어렵다. 둘째, 복합어에만 된소리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구에서도 된소리 발음이 날 수 있다. 셋째, 도로명 '○○길'은 '개나리길', '개나리 1길', '개나리 2길'과 같이 '○○'+길로 분리되는 성질이 있어 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길'은 한글 맞춤법 제49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유명사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되 붙일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 아래와 같은 고유 명사를 들 수 있는데 '○○+길'도 보통명사와 보통명사가 결합하여 고유명사로 된 같은 유형의 것이다. |
|
|
|
|
예) |
대한중학교 |
청마고등학교 |
피리유치원 |
한마음아파트 |
장미아파트 |
소라아파트 |
소망교회 |
동대구시장 |
청마루식당 | |
|
|
|
위와 같은 국어심의회의 다수 의견에 따라 '○○길'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 사이시옷에 대한 일반적인 거부감이 주요 원인임. |
 |
Ⅶ. 도로명 부여시 지양할 도로명 등 - 사유시설물의 이름 및 부적절한 도로명 등 지양 |
|
|
1. 『도로명및건물번호부여원칙』에 벗어난 도로명부여 지양 |
|
|
|
가. '○○아파트길' , '○○맨션길' 등 사유시설물 나. '○○절길' , '성당서쪽길' 등 특정 종교의 이름 다. 역사적 인물이 아닌 최근의 사람 이름 사용 |
|
|
2. 도로명이 너무 길거나 주소로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이름 |
|
|
|
가. '농협시지부서쪽길', '○○쪽으로가는길' 등(가능한 6자 이내) 나. '황천길', '사정길' 등 다. '할렘가' 등 지역을 내포한 외래이름. 단, 기존의 사용시 제외 |
|
|
3. 주소 찾기에 혼란이 초래되고 고유성 및 확장성이 과다한 이름 |
|
|
|
가. 어떤 지역의 이름을 다른 지역의 이름으로 부여 |
|
|
|
|
예) |
공주시 유규읍의 지역명을 타 지역인 신관동 등에 '유규로' 사용 | |
|
|
|
나. '○○22로' 등 일련번호가 너무 많은 도로이름(가능한 10로 이내) 다. 농촌지역의 한 마을에 불필요한 도로명이 많은 경우 |
 |
Ⅷ. 로마자 표기법 연혁 |
|
|
○ 매큔-라이샤워법 (1939년) |
○ 발음대로 적는 법 ○ 유·무성 구별 |
○ 외국인 위주의 표기법 ○ 반달표, 어깻점 사용 |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법 (1948년 문교부 고시) |
○ 절충식(철자와 발음) ○ 유·무성 부분적 구별 |
○ 일반에 호응을 얻지 못함 ○ 자모대조표로 사용 복잡 |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1959년 문교부 고시) |
○ 글자대로 적는 법 |
○ 외국인 사용 외면 ○ 일반에 호응을 얻지 못함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984년 문교부 고시) |
○ 발음대로 적는법 ○ 유·무성 구별 |
○ 외국인 중심의 표기법 ○ 반달표, 어깻점 사용 ○ 인터넷 환경을 예상치 못함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0.7.7 문광부고시)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 |
○ 반달표, 어깻점 없앰 ○ 발음대로 적는법 |
○ 인터넷시대에 맞게 개정 ○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편리한 표기법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