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가족친지

2010.08.25.저녁 (비)-장수풍뎅이 산으로 보내주다

한봄김국빈 2010. 8. 28. 12:09

장수풍뎅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물 분류 읽는 법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Trypoxylus dichotomus)
장수풍뎅이(Trypoxylus dichotomus)
멸종위기등급
Ko-Status iucn3.1 NT.png
멸종위기등급: 취약근접
(NT: near threatened)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딱정벌레목
과: 풍뎅이과
아과: 장수풍뎅이아과
속: 장수풍뎅이속
종: 장수풍뎅이
학명
Trypoxylus dichotomus
이명
Allomyrina dichotoma

장수풍뎅이(Trypoxylus dichotomus)는 풍뎅이과곤충으로 일본에서는 투구벌레투구풍뎅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30-85㎜로 매우 굵고 뚱뚱하며, 몸색깔은 전체적으로 밤색을 띤다. 수컷은 광택이 나지만, 암컷은 수컷보다 검고 광택이 없다. 암컷은 이마에 세 개의 짧고 뾰족한 돌기가 가로로 있다. 수컷은 매우 굵고 긴 뿔이 나 있는데, 그 길이가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며 끝이 가지처럼 갈라져서 사슴의 뿔처럼 보인다. 또한 암컷은 가슴이 단순하나, 수컷은 가슴 앞쪽에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작은 뿔이 있다.

큰 활엽수에 구멍을 파고 산다. 6-8월에 성충이 나타나 썩은 가랑잎이나 짚두엄 밑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자라는 동안 세 번 탈피를 한 뒤 월동한다. 다음해 초여름에 땅 속으로 들어가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20일 뒤에 성충으로 변태한다.

한국·중국·일본·타이완·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힘이 매우 강해서 자신의 몸무게에 50배가 넘는 물건도 들거나 끌 수 있다. 장수풍뎅이는 졸참나무, 상수리나무의 수액을 먹으며 산다. 장수풍뎅이 수컷과 암컷이 짝짓기를 하면 암컷은 알을 30~100개 까지도 낳을 수 있다.

Crystal Clear app linneighborhood.png 본 문서에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GFDL 또는 이에 준하는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먹이를 주고 물을 뿌려주고 함께 살던 3개월이 즐거웠었다.

언제나 방 안에 가두어 두고 우리만 보아서는 안 된다.

풍뎅이도 자연으로 돌아가서 친구들을 만나야 한다.

비 오는 저녁에 보내주어야 다른 새들의 먹이가 안 될 것이기에.

 

보내는 마음은 슬프지만 기쁘게 보내야 하기에 웃어보라고 했다.

 

 

 

앞산 체육공원 쉼터이다.

비가 쏟아져서 여기에서 잠시 쉰다.

 

손으로 기어 올라 떠나지 않으련가?

그래도 안 되지.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가야 하는 거야.

이게 너의 마지막 모습이다.

 

너와 함께 지내던 톱밥이다.

혹시라도 다시 찾아오려거든 냄새라도 잘 맡아 두어라.

 

"장수풍뎅이야, 부다 잘 가거라. 어두운 밤중에 너를 보내려니 마음이 안 좋다만 그래도 어쩌겠니?"

 

또 다시 돌아오려고 한다.

"돌아오면 안 되. 잘 가."

 

 

'★자료마당 > ▶가족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08.28.유아세례식(2)  (0) 2010.08.28
2010.08.28.유아세례식(1)  (0) 2010.08.28
가창 우록-청도 와인동굴  (0) 2010.08.28
4총사  (0) 2010.08.25
천사의 나라  (0) 201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