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교과서자료

생활인(生活人)의 철학(哲學) / 김진섭(金晋燮)

한봄김국빈 2023. 11. 15. 13:07

생활인(生活人)의 철학(哲學)

김진섭(金晋燮)

 

 

철학을 철학자의 전유물인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결코 무리한 일은 아니니, 왜냐 하면, 그만큼 철학은 오늘날 그 본래의 사명사람에게 인생의 의의와 인생의 지식을 교시(敎示)하려 하는 의도를 거의 방기(放棄)하여 버렸고, 철학자는 속세와 절연(絶緣)하고, 관외(管外)에 은둔(隱遁)하여 고일(高逸)한 고독경(孤獨境)에서 오로지 자기의 담론(談論)에만 경청(傾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철학과 철학자가 생활의 지각(知覺)을 온전히 상실하여 버렸다는 것은 참으로 슬픈 일이다. 그러므로 생활 속에서 부단히 인생의 예지(叡智)를 추구하는 현대 중국의 '양식(良識)의 철학자' 임어당(林語堂)이 일찍이 "내가 임마누엘 칸트를 읽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석 장 이 상 더 읽을 수 있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는데, 이 말은 논리적 사고가 과도(過度)의 발달을 성수(成遂)하고, 전문적 어법이 극도로 분화한 필연의 결과로서, 철학이 정치·경제보다도 훨씬 후면에 퇴거(退去)되어, 평상인은 조금도 양심의 가책(阿責)을 느끼지 않고 철학의 측면을 통과하고 있는 현대 문명의 기묘한 현상을 지적한 것으로서, 사실상 오늘에 있어서는 교육이 있는 사람들도, 대개는 철학이 있으나 없으나 별로 상관이 없는 대표적 과제가 되어 있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나는 물론 여기서 소위 사변적(思辨的), 논리적, 학문적 철학자의 철학을 비난, 공격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나는 오직 이러한 체계적인 철학에 대하여 인생의 지식이 되는 철학을 유지하여 주는 현철(賢哲)한 일군(一群)의 철학자가 있었던 것을 알고 있으며, 그러한 의미에서 철학자만이 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요, 어느 정도로 인간적 통찰력과 사물에 대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는 이상, 모든 생활인은 그 특유의 인생관, 세계관, 즉 통속적 의미에서의 철학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다음에 말하고자 함에 불과하다.

 

철학자에게 철학이 필요한 것과 같이 속인(俗人)에게도 철학은 필요하다. 왜 그러냐 하면, 한 가지 물건을 사는 데에 그 사람의 취미가 나타나는 것같이, 친구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그 사람의 세계관, 즉 철학은 개재(介在)되어야 할 것이요, 자기의 직업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그 근본적 계기가 되는 것은 물론, 그 사람의 인생관이 아니어서는 아니 되겠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들이 결혼이라는 것을 한 번 생각해 볼 때, 한 남자로서 혹은 한 여자로서 상대자를 물색함에 제()하여 실로 철학은 우리들이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는 훨씬 많이 지배적이고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요, 우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활을 설계하느냐 하는 것도, 결국은 넓은 의미에서 우리들 이 부지중(不知中)에 채택한 철학에 의거하여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들이 생활권 내에서 추하게 되는 모든 행동의 근저(根底)에는 일반적으로 미학적 내지 윤리적 가치 의식이 횡재(橫在)하여 있는 것이니, 생활인의 모든 행동은 반드시 어느 종류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관념을 내포하고 있다. 모든 사람은 소위 이상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이상이 각인(各人)의 행동과 운명의 척도가 되고 목표가 되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이상이란 요컨대 그 사람의 철학적 관점을 말하는 것이며, 그 사람의 일반적 세계관과 인생관에서 온 규범(規範)의 한 파생체(派生體)를 말하는 것이다.

 

"내 마음이 선택의 주인공이 된 이래 그것이 그대를 천 사람 속에서 추려내었다.”고 햄릿은 그의 우인(友人) 호레이쇼에게 말하였다. 확실히 우인의 선택은 임의로운 의지적 행동이라고는 하나, 그러나 그것은 인생철학에 기초를 두는 한, 이상의 지배를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햄릿은 그에 대하여 가치가 있는 인격체이며, '천지지간 만물(天地之間萬物)'에 대한 이해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하여 이 인생 생활을 저 천재적이나 극히 불운한 정말(丁抹)의 공자(公子)보다도 그 근본에 있어서 보다 잘 통어(統御)할 줄 아는 까닭으로, 호레이쇼를 우인으로서 택한 것이다. 비단 이뿐이 아니요, 모든 종류의 심의 활동(心意活動)은 가치관의 지도를 받아 가 며 부단히,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 운명을 형성하여 가는 것이니, 적어도 동물적 생활의 우매성(愚昧性)을 초극(超克)한 모든 사람은 좋든 궂든 하나의 철학을 가지는 것이다. 사람은 대개 이 인생에 대하여 무엇을 요구해야 할까를 알며, 그의 염원이 어느 정도로 당위(當爲)와 일치하며, 혹은 배치(背廳)될지를 아는 것이니, 이것은 실로 사람이 인간 생활의 의의에 대하여 사유(思惟)하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오직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두말 할 것 없이 생활 철학은 우주 철학의 일부분으로서, 통상적인 생활인과 전문적인 철학자와의 세계관 사이에는, 말하자면 소크라테스와 트라지엔의 목양자(牧羊者)의 사이에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현저한 구별과 거리가 있을 것은 물론이나, 많은 문제에 대하여 그 특유의 견해를 가지는 점에서는 동일한 철학자인 것이다.

 

나는 흔히 철학자에게서 생활에 대한 예지(叡智)의 부족을 인식하고 크게 놀라는 반면에는, 농산어촌(豊山漁村)의 백성 또는 일개의 부녀자에게 철학적인 달관(達觀)을 발견하여 깊이 머리를 숙이는 일이 불소(不少)함을 알고 있다. 생활인으로서의 나에게는 필부필부(匹夫匹婦)의 생활 체험에서 우러난 소박, 진실한 안식(眼識)이 고명(高名)한 철학자의 난해한 칠봉인(七封印)의 서()보다는 훨씬 맛이 있다는 것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원래 현실적 정세를 파악하고 투시(透視)하는 예민(銳敏)한 감각과 명확한 사고력은, 혹종(或種)의 여자에 있어서 보다 더 발견되어 있으므로, 나는 흔히 현실을 말하고 생활을 하소연하는 부녀자의 아름다운 음성에 경청하여, 그 가운데서 또한 많은 가지가지의 생활 철학을 발견하는 열락()은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

 

하나의 좋은 경구(警句)는 한 권의 담론서(談論害)보다 나은 것이다.

그리하여 언제나 인생의 지식인 철학의 진의(眞意)를 전승(傳承)하는 현철(賢哲)이 존재한다는 것은 고마운 일이다. 그래서 이러한 무명의 현철은 사실상 많은 생활인의 머릿속에 숨어 있는 것이다. 생활의 예지이것이 곧 생활인의 귀중한 철학이다. <>

 

=======

 

작품해설

 

김진섭의 중수필. 현학적 표현이 두드러진 수필. 철학은 인간을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아무나 논할 수 있는 것 이 아니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다. 작자는 이러한 통념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따 로 없듯이 철학할 수 있는 사람도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다.'라는 말처럼 철학은 늘 우리 주변에 있음을 말하는 것이 이 글의 핵심이다.

 

작자는 철학이 결코 개념적으로 응고된 지식의 체계가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나 사고의 과정이기에, 생활인이라면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또 이미 갖추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사실 생활인과 철학은 얼핏 보기에는 썩 잘 어 울릴 것 같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 글은 그 관계를 무난하게 이어주고 했다. 여기서 삶을 통찰하는 수필이라는 양식적 특성이 잘 구현되고 있다.

 

모든 생활인은 현실적 정세를 파악하고 투시하는 예민한 감각과 사물에 대한 판단력을 가져야 그 특유의 인생관, 세계관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서술한 수필로서 생활의 철학을 옹호하고 있다.

 

김진섭은 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붙잡아, 이를 인생의 문제와 관련시켜 그 결과까지를 제시하는,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수필을 주로 썼다. 그의 수필에서는 '생의 철학'에 뿌리를 둔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인생관과 자연에 대한 애정, 신비감을 감추지 않는 동양적인 자연관을 읽어 낼 수 있다.

 

 

작가 김진섭(金晉燮.1903.8.24~1950.8.5 납북)

수필가·독문학자, 호 청천(聰川). 경북 안동(安東) 출생. 양정고보(養正高普)를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호세이[法政]대학 독문학과를 나왔다. 26년 손우성(孫宇聲이하윤(異河潤정인섭(鄭寅燮) 등과 해외문학연구회에 참가하여 해외문학(海外文學)창간에 참여, 카프의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대결하여 해외문학 소개에 진력하였다. 평론 <표현주의 문학론>을 비롯하여 독일문학을 번역 소개하고, 귀국 후에는 경성제대(京城帝大) 도서관 촉탁으로 있으면서 서항석(徐恒錫이헌구(李軒求유치진(柳致眞) 등과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였다. 이때부터 수필을 쓰기 시작하여 생활인의 철학을 재치 있게 표현하는 수필문학의 새 영역을 개척하였다. 8·15광복 후에는 서울대학 도서관장, 서울대학·성균관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였으며 46년에 독일어교본을 엮어냈다.

 

47년에 첫 수필집 인생예찬, 48년에는 수필가로서의 그의 위치를 굳힌 본격적 수필집 생활인의 철학을 간행하였다. 50년에 논문집 교양의 문학을 출판사에 남겨 놓고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 55년에 교양의 문학이 간행되었고, 58년에는 유작 40편이 수록된 청천수필평론집(聰川隨筆評論集)이 출간되었다. 깊이 있는 생활관찰과 인생사색을 꾸밈없는 소박한 문체로 엮어낸 그의 수필은 한국 수필문학의 한 모델로 간주되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그는 수필을 문학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공로자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