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역사자료

행수법(行守法)

한봄김국빈 2023. 11. 13. 19:19

행수법(行守法)

고려ㆍ조선 시대에, 품계와 관직이 상응하지 아니하는 벼슬아치를 구별하여 부르던 방법.

 

품계가 높은 사람을 낮은 관직에 임용하는 경우는 관직명 앞에 행(),

그 반대의 경우는 수()를 붙여 불렀다.

 

(1) 通訓大夫 行 㫌義縣監 丹陽禹公

(2) 贈 吏曹判書 行 承政院 右承旨 忠文公 成三問

(3) 定略將軍(A4) 行 訓鍊院習讀官(B6)○○鄭公

A 조선 시대에 둔, 4품 상()의 무관 품계. 진위장군의 아래, 선략장군의 위.

B 훈련원, 승문원, 사역원, 관상감, 전의감 등에 두었던 종6~9품의 임시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각기 이문ㆍ중국어ㆍ천문학ㆍ의학ㆍ군사학 관계의 지식을 강습시키기 위해 선발되었다.

 

조선시대는 관직에  행수법(守法)이 있었습니다.

 

(1) 階高職卑則行

品階는 높은데 실제의 관직이 낮은 경우, (관직 앞에) 을 붙입니다.

[] 1품인 숭록대부가 정2품인 예조판서를 맡으면, <崇祿大夫 行 禮曹判書>라 합니다.

 

(2) 階卑職高則守

品階는 낮은데 실제의 관직이 높은 경우, (관직 앞에) 를 붙입니다.

[] 2품인 가선대부가 정2품인 대제학을 맡으면, <嘉善大夫 守 弘文館 大提學>이라 합니다.

 

[참고로 아래 바로가기 주소에, 관련자료가 있습니다.]

https://cafe.daum.net/YEsarang/8iHv/1751?svc=cafe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