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예절자료 14

남자 절하기

[예절생활] ●남자 절하기-생자에게-최훈영- 왕은 나라 안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다. 그래서 지존(至尊)이라고 했다. 왕이 행하는 모습이 백성과 달라야 한다. 백성이 왕의 지존을 취하면, 역적이 된다. 왕이 지존으로 되기 위해 왕실법도가 나오게 된 것이다. 왕실 법도를 지켜주기 위하여 백성 법도가 따로 있어야 되는 것이었다. 왕실 말(王室言語)이 있고, 백성 말(百姓言語)이 따로 있게 되었다. 왕실혼례가 있고, 백성혼례가 따로 있게 되었다. 왕실절하기>가 있고, 백성절하기>가 따로 있게 된 것이다. 왕이 정남(正南)으로 앉게 된다. 그리하여 궁궐이 정남을 보도록 짓는다. 남쪽을 바르게 보도록 앉으면 그 자리가 정남이다. 정남이 좌침(座針)으로는 자좌(子座=정남향)이다. 백성 집은 정남을 피해서 지어야 한다..

나이와 항렬

㈜ 아래 글은 경주최씨 최훈영 선생의 언어예절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예절생활] ●나이와 항렬 말하는 두 사람 사이에 있어서 어느 한쪽이 나이도 많고 항렬도 위가 되면 말하기에 어려움은 없게 됩니다.그러나 한쪽이 항렬은 위가 되나 나이는 저쪽보다 아래가 될 경우 두 사람 사이에 말하기가 어떻게 되어야 마땅한가에 대한 것을 밝히고자 합니다. 8촌 안에 든 유복친당에서는 항렬이 무겁게 되고, 9촌 이상이 되는 면복친당에서는 나이가 무겁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무겁게 된다’라는 말은 윗자리에 오른다는 뜻이 됩니다. 항렬이 무겁게 되는 8촌 안의 경우에 있어서도 촌수가 8에 가까워질수록 그 항렬의 힘이 약하게 되는 것입니다. 김상권(60세-질항): 끝아버지, 절합니다.김오연(50세-숙항): 오냐, 너는 언..

부모 부모 부모

부모와 관련된 글 모음 백발의 어머님 강릉에 계시는데 이 몸 서울 향해 홀로 떠나는 마음 고개 돌려 북평(北坪) 때때로 바라보니 흰 구름 나는 하늘 아래 저녁 산이 푸르구나. -신사임당- 부모님 계신 제는 부몬 줄을 모르더니 부모님 여윈 후에 부몬 줄 아노라 이제사 이 마음 가지고 어디다가 베푸료 -이숙량-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두 분 곧 아니시면 이 몸이 살았을까 하늘같이 높고 큰 은덕을 어디대어 갚사오리 -정철-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부모 곳 아니면 내 몸이 없을랏다 이 덕을 갚으려하니 하늘 가이 없으샷다 -주세붕- 아버지 날 낳으시니 은혜 밖의 은혜로다 어머니 날 기르시니 더 밖의 덕이로다 하늘같은 이 은덕을 무엇으로 갚사오리 -김우기-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

자타(自他) 칭호(호칭/지칭) 구별표

자타칭호구별표.hwp 自他 칭호(호칭/지칭) 구별표 指稱(He,She)-어떤 대상을 가리켜 일컫다/呼稱(I,You)-이름을 지어 부르다 출처: 방송통신대학학습참고자료국어(1)(1972,서울대학교출판부,pp.99-104) 1. 친척간 구별 부를사람 경우 생사 부를사람을(자기로부터)일컬을때[呼稱] 자기를(부를사람에게)일컬을때[呼稱] 부를사람을(남에게)일컬을때[指稱] 남의부를사람을(자기가)일컬을때[指稱] 祖父 (할아버지) 生 할아버님/할아버지/祖父님/祖父主 孫/孫子/小孫/不肖孫/不孝孫 祖父/王父 王大人/王尊丈/王府丈/祖父丈 死 생시와같음/顯祖考(축문) 생시와같음/孝孫(축문) 祖考/王考/先祖考/先王考 王考丈/先王尊丈/先王大人 祖母 (할머니) 生 할머님/할머니/祖母님/祖母主 祖父의경우와같음 祖母/孝祖母 王大夫人/..